용재눌재양선생유고 -안동역사인물국역총서11
![]() |
용재눌재양선생유고(慵齋訥齋兩先生遺稿) 안동역사인물문집국역총서11/한국국학진흥원 저자: 이종준(李宗準)·이홍준(李弘準) 번역: 박미경(朴媄敬) 발행: 2020년 10월 30일 발행처: 한국국학진흥원 |
저자: 이종준李宗準(1453~1499)
자는 중균(仲勻), 호는 용재(慵齋),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저서로는 『용재눌재양선생유고』(1책)가 있다.
저자: 이홍준李弘準(?∼1523)
자는 군식(君式), 호는 눌재(訥齋),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저서로는 『용재눌재양선생유고』(1책)가 있다.
역자: 박미경(朴媄敬)
한국국학진흥원 고전국역위원(현)
경북대학교 중어중문학교 박사과정 졸업
『쌍봉선생문집』(공역), 『무송헌선생문집』, 『성재선생문집』 등 번역
<도서 소개>
용재눌재양선생유고는 목활자본 2권 1책의 문집이다.
저자는 용재 이종준李宗準(1454~1499)과 눌재 이홍준李弘準(?~1523)이다.
이종준은 김종직의 문인으로 무오사화에 연류되어 국문 도중 세상을 떠났기에 저술이 많지 않으나 조선 초 인물의 문집으로 그 가치가 높다.
<목차>
해 제 – 임근실(林勤實) … 11
용재 눌재 두 선생의 유고 서문[慵齋訥齋兩先生遺稿序] -김희주金熙周 / 이재집李在緝 … 35
용재 눌재 양 선생 세계도慵齋訥齋兩先生世系圖 … 42
용재선생유고
시詩
「삼소도」에 짓다[題三笑圖] … 47
차운[附次韻] -남추강南秋江 … 48
벗의 부채에 쓰다[題友人扇] … 48
권오복 향지와 함께 김일손 계운이 눈을 읊은 연구 시에 차운하다[與權嚮之 五福 次金季雲 馹孫 詠雪聯句] … 49
강계에 귀양 가서 소무의 굴을 읊으며[謫江界 詠蘇武窟] … 52
내성군으로 유람하는 추강 남효온을 보내며[送秋江南 孝溫 游柰城郡] … 53
수헌의 「등루」 시에 화답하여[和睡軒登樓韻] … 53
또[又] … 54
수헌에게 차운하다[次睡軒] … 54
침류정에 짓다[題枕流亭] … 55
병풍 십영屛風十詠 … 55
짚신을 끌며 상가를 부르다[曳履商歌] … 55
염계에서 연꽃을 완상하다[濂溪賞蓮] … 56
동산에서 기녀를 데리고 다니다[東山携妓] … 57
서새에서 물고기를 낚다[西塞釣魚] … 57
무릉도원에서 봄을 찾다[武陵尋春] … 58
하삭에서 더위를 피하다[河朔避暑] … 58
동쪽 울타리에서 국화를 따다[東籬採菊] … 59
서호에서 매화를 완상하며[西湖翫梅] … 60
눈 속에 나귀 타고[雪裏騎驢] … 60
적벽에 배를 띄우다[赤壁乘舟] … 61
추강과 정중이 달밤에 비파를 들고 문을 두드리니 허겁지겁 나와 맞이하고 살구꽃 아래 겹 방석을 깔고 조촐하게 마련한 술을 마시며 소동파의 시에 차운하여 연구로 짓다[秋江與正中 乘月掛琵琶 敲門倒屣出迎 設重茵杏花下 酬小酌 次東坡韻聯句] … 62
소계疏啟
사헌부의 벼슬을 사직하는 상소[辭臺職疏] … 64
소릉을 회복하기를 청하는 계문[請復昭陵啓] … 65
발跋
유산악부시의 발문[遺山樂府詩跋] … 66
「전적벽부」 서첩의 발문[前赤壁賦書帖跋] … 70
묘갈墓碣
군위 현감 금계琴啓의 묘갈[琴軍威墓碣] … 72
부록附錄
행장行狀 -류 규柳 氵+奎 … 74
행록行錄 … 84
묘지墓誌 … 84
묘갈명墓碣銘 -이현일李玄逸 … 85
묘석 음기墓石陰記 -홍여하洪汝河 … 86
묘도 입석 시 축문墓道立石時祝文 -김주시金柱時 … 87
서원에 향사하게 된 일의 대략[院享事略] … 89
춘파리사 봉안 축문春坡里社奉安祝文 -김응조金應祖 … 90
상향 축문常享祝文 -권 환權 寏 … 91
상량문上梁文 -신열도申悅道 … 92
경광서원 묘우 상량문鏡光書院廟宇上梁文 -권 항權 沆 … 96
백록리사 상향 축문栢麓里社常享祝文 … 100
묘우 상량문廟宇上梁文 -이상언李尙彦 … 101
묘우 중건 상량문廟宇重建上梁文 -이광정李光庭 … 105
추증을 받은 뒤 신주를 다시 쓸 때의 축문[追贈後改題時祝文] -이 보李 簠 … 109
사화 수말史禍首末 … 110
무인년(1518)에 원통함을 풀어 줄 때의 전지[戊寅伸雪時傳旨] … 111
기사년(1689)에 추증할 때의 계문[己巳追贈時啓] … 112
『무오당적戊午黨籍』 … 114
『조야회통』을 요약함[朝野會通略] … 118
『의성읍지義城邑誌』 … 119
척유摭遺 … 119
제현이 준 시문[附諸賢投贈詩文]
용재가 점필재의 시를 이어 지은 시에 화답하여[和慵齋賡佔畢齋韻] -권오복權五福 … 122
의성으로 부임하는 이중균을 전송하며[送李仲匀之任義城] … 123
용재거사에게 부치다[寄慵齋居士] -정희량鄭希良 … 124
용재의 그림에 화제를 쓰다[題慵齋畫] -최숙생崔淑生 … 125
비가 오는 중에 중균이 생각나서[雨中憶仲勻] -남추강南秋江 … 126
중균의 그림에 쓰다[書仲匀畫] -김일손金馹孫 … 126
보유補遺
『유양잡조』의 발문[酉陽雜俎跋] … 128
발문[跋] -김진동金鎭東 … 130
눌재선생유고
시詩
무제無題 … 113
잡저雜著
가훈家訓 … 134
동약洞約 … 135
가장家狀
선조고 가선대부 대사헌 부군의 가장[先祖考嘉善大夫大司憲府君家狀] … 137
선부군의 가장[先府君家狀] … 141
중형 장륙당의 가장[仲兄莊六堂家狀] … 146
구묘문丘墓文
세상을 떠난 형 장륙당의 묘지[先兄莊六堂墓誌] … 153
스스로 지은 묘갈명[自製墓碣銘] … 153
통훈대부 행 낙안 군수 남공의 묘갈명[通訓大夫行樂安郡守南公墓碣銘] … 155
부록附錄
행장行狀 -김형모金瀅模 … 158
스스로 지은 묘지명 뒤에 쓰다[書自製墓銘後] -이눌은李訥隱 … 165
묘갈 음기墓碣陰記 -김한동金翰東 … 166
백록리사 상향 축문栢麓里社常享祝文 … 167
묘우 상량문廟宇上梁文 … 168
『금계동지』를 요약함[金溪洞誌略] … 168
외영당 제영畏影堂題詠 -이 우李 堣 … 168
찰방공의 갈음명[附察訪公碣陰銘] -이 황李 滉 … 169
발문[跋] 이종기李種杞 / 김도화金道和 / 권상익權相翊 / 노상직盧相稷 … 172
색인 … 181
영인 … 189
*한국국학진흥원: https://www.koreastudy.or.kr/
'【경주이씨】 > 월성군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시사, 봉화군지, 경상도읍지, 영남읍지 (hwp, pdf파일) (0) | 2022.02.04 |
---|---|
『용재눌재양선생유고慵齋訥齋兩先生遺稿』 해제 -임근실(林勤實) (0) | 2021.09.18 |
용재눌재양선생유고 -용재공 이종준 문집 편집 (pdf파일 zip) (0) | 2021.09.18 |
경주이씨 월성군파 연력 및 실록 (hwp, pdf파일) (0) | 2020.08.17 |
[안내] 경주이씨 월성군후 용재공파 안내 (0) | 2019.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