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 보기

more

[한국문학세상] ‘제19회 대한민국 디지털 문학상’ 시문학상 당선

[한국문학세상]‘제19회 대한민국 디지털 문학상’ 심사결과한국문학세상(회장, 수필가 김영일)은, 지난 4월 1일부터 30일까지 ‘공모전 투명심사 시스템’으로 작품을 접수하여 2명의 당선자를 선정했다.시문학상에 시인 이제민(60세·대전)과 시인 유용기(66세·대전)가 선정됐다.이제민 시인은, 시 ‘새벽 바다’에서 바닷가에 사는 사람들의 일상을 오묘한 미학으로 밀물과 썰물의 조화에 비유하며 포구의 뱃고동처럼 우려냈다. 꿈을 향해 날갯짓하는 싱그러운 햇살로 승화시킨 아스라한 형상이 돋보였다.유용기 시인은, 시 ‘천생연분’에서 젊은 날 좋아하는 마음은 있지만 먼저 고백할 수 없었는지 서로 좋아하는 꽃이 뭐냐고 물으면 호박꽃과 박꽃을 좋아한다고 멋없이 말했지만, 달빛에 비친 보조개가 가슴을 뛰게 하였다는 사랑의 ..

발표詩 2024.05.31 0

바람의 말 2 외 2편 (한국문학세상 2024년 봄 여름호)

바람의 말 2이제민어려웠던 시절반복되는 무의미한 일상현실 도피하며 먼 길 떠난 당신돌아올 수 없다는 걸 알면서삶의 무게 내려놓고고통에서 벗어나려는 몸짓이다찬바람 남아 있어도부드러운 손길에 새순 돋는 걸 보니떠난 당신 보고파라기나긴 세월 돌아보니모래알처럼 흩뿌려지고부질없는 일이다.------------------------·계간 『한국문학세상』 2024년 봄·여름호 통권 44호봄바람 불면이제민어둠 속 웅크린 마음문틈으로 봄바람 불면콧등이 간지럽네설레는 마음에두 어깨 펴고 손짓하니벌써 저만치 달려가네생기 넘치는 부드러운 바람새싹 움트게 하고갑옷 입은 나무 들뜨게 하네봄바람 불면무거웠던 마음 날려 보내고새 옷을 갈아입네.------------------------·계간 『한국문학세상』 2024년 봄·여름호 통..

발표詩 2024.05.03 0

바람의 말 2

바람의 말 2이제민어려웠던 시절반복되는 무의미한 일상현실 도피하며 먼 길 떠난 당신돌아올 수 없다는 걸 알면서삶의 무게 내려놓고고통에서 벗어나려는 몸짓이다찬바람 남아 있어도부드러운 손길에 새순 돋는 걸 보니떠난 당신 보고파라기나긴 세월 돌아보니모래알처럼 흩뿌려지고부질없는 일이다.------------------------·계간 『한국문학세상』 2024년 봄·여름호 통권 44호

발표詩 2024.05.03 0

인기글 보기

[한국문학세상] ‘제19회 대한민국 디지털 문학상’ 시문학상 당선

[한국문학세상]‘제19회 대한민국 디지털 문학상’ 심사결과한국문학세상(회장, 수필가 김영일)은, 지난 4월 1일부터 30일까지 ‘공모전 투명심사 시스템’으로 작품을 접수하여 2명의 당선자를 선정했다.시문학상에 시인 이제민(60세·대전)과 시인 유용기(66세·대전)가 선정됐다.이제민 시인은, 시 ‘새벽 바다’에서 바닷가에 사는 사람들의 일상을 오묘한 미학으로 밀물과 썰물의 조화에 비유하며 포구의 뱃고동처럼 우려냈다. 꿈을 향해 날갯짓하는 싱그러운 햇살로 승화시킨 아스라한 형상이 돋보였다.유용기 시인은, 시 ‘천생연분’에서 젊은 날 좋아하는 마음은 있지만 먼저 고백할 수 없었는지 서로 좋아하는 꽃이 뭐냐고 물으면 호박꽃과 박꽃을 좋아한다고 멋없이 말했지만, 달빛에 비친 보조개가 가슴을 뛰게 하였다는 사랑의 ..

발표詩 2024.05.31 0

충북 보은 출신(거주) 시인 소개

충북 보은 출신(거주) 시인 *시인명 순 ■구희문 시인 1970년생. 충북 보은군 탄부면 대양리 출생 1992년 시집 『삶 바라기』 출간하며 작품 활동 시작 《자유문예》 신인문학상 수상, 《강남시》 동인 2016년 제19회 서울문예상 우수상 시부문 수상 【시집】 『삶 바라기』 (나라원, 1992) 『사람이 그리울 때 난 혼자가 된다』 (대성, 2010) 『얼굴』 (천년의시작, 2010) ‘인간 본향으로의 회귀 꿈꾸는 영혼의 고백’ (보은신문 2010.08.12.) 구희문 시집 ‘얼굴’ *보은신문: http://www.boeuni.com/news/articleView.html?idxno=27706 ‘슬픔의 미학’으로 시심(詩心) 불사르다 (보은신문 2010.11.18.) ‘삶 바라기'로 작품 활동...올해..

충북 보은 2020.02.09 0

경주이씨 족보의 유래와 용어

경주이씨 족보의 유래와 용어 족보는 혈통을 실증하는 문헌으로 중국에서 황제연표를 기술하면서 처음 시작했다. 우리나라는 고려 때 김관의가 작성한 이 효시가 되고 있다. 왕실 이외 사가에선 세종 5년(1423) 문화유씨의 가 시초이나 현재 서문만 남아 있다. 성종 7년(1467) 안동권씨의 가 가장 오래된 족보이며, 명종 17년(1567) 문화유씨의 에서 부부가 최초로 등재되었고, 족보의 체계화는 조선후기 인쇄술의 발달로 본격화되었다. 경주이씨 족보 시조의 35세손인 휘 誡(계) 법헌공의 세보 20권이 있다고 족보에서 밝히고 있으나 소실되어 찾을 수 없다. 이에 백사공의 동종계를 경주이씨 족보의 효시로 보는 견해가 있다. 갑자보, 무진보, 갑술보 등이 전해지는데 이를 ‘갑무갑’ 3보라 한다. 갑자보(甲子譜)..

경주이씨 2020.09.24 0

경주이씨 월성군파 계통, 행력 및 유적 (hwp, pdf 파일)

경주이씨 월성군파 계통, 행력 및 유적(慶州李氏 月城君派 系統, 行歷 및 遺跡)목차(目次)□경주이씨 상세 실전 계통도(慶州李氏 上世 失傳 系統圖)□경주이씨 항렬제차(慶州李氏 行列第次)□경주이씨 분적 분파도(慶州李氏 分籍 分派圖)□경주이씨 월성군파 분적 분파도(慶州李氏 月城君派 分籍 分派圖)□시조 표암공 알평 계통(始祖 瓢巖公 謁平 系統)▣경주이씨(慶州李氏) 14대파(大派) 분파계통(分派系統)▣월성군파 계통(月城君派 系統)□월성군 지수(月城君 之秀)□이부시랑공 지연(吏部侍郎公 之衍)□경주이씨 월성군파 행력(慶州李氏 月城君派 行歷)□경주이씨 월성군파 기·상량문·비문(慶州李氏 月城君派 記·上樑文·碑文)▣고려사(高麗史),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경주이씨 월성군후 대사헌공파 관련 안동, 봉화 인물▣유적지(遺跡..

월성군파 2018.01.2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