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재공 이종준 8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행력 및 수록집 (hwp, pdf파일)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행력 및 수록집  [목차]□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행력□[시문집] 용재유고(慵齋遺稿)  *초간본 1824년, 중간본 1901년, 삼간본 1911년 간행□[국역서] 용재눌재양선생유고(慵齋訥齋先生遺稿) *2020년□용재공(慵齋公) 작품□[의서] 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 *1497년 간행□용재공(慵齋公) 수록집□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용재공(慵齋公) 배향서원(配享書院)□가장(家狀), 행장(行狀), 묘갈명(墓碣銘), 서(序), 발문(跋文)□눌재공(訥齋公) 이홍준(李弘準)□부록

용재눌재양선생유고 -안동역사인물국역총서11

용재눌재양선생유고 -안동역사인물국역총서11 용재눌재양선생유고(慵齋訥齋兩先生遺稿) 안동역사인물문집국역총서11/한국국학진흥원 저자: 이종준(李宗準)·이홍준(李弘準) 번역: 박미경(朴媄敬) 발행: 2020년 10월 30일 발행처: 한국국학진흥원 저자: 이종준李宗準(1453~1499) 자는 중균(仲勻), 호는 용재(慵齋),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저서로는 『용재눌재양선생유고』(1책)가 있다. 저자: 이홍준李弘準(?∼1523) 자는 군식(君式), 호는 눌재(訥齋),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저서로는 『용재눌재양선생유고』(1책)가 있다. 역자: 박미경(朴媄敬) 한국국학진흥원 고전국역위원(현) 경북대학교 중어중문학교 박사과정 졸업 『쌍봉선생문집』(공역), 『무송헌선생문집』, 『성재선생문집』 등 번역 용재눌재양선생유..

용재눌재양선생유고 -용재공 이종준 문집 편집 (pdf파일 zip)

용재눌재양선생유고 -용재공 이종준 문집 편집 [눌재선생유고 가장] 선부군가장(先府君家狀) -눌재 이홍준 [눌재선생유고 가장] 선조고가선대부대사헌부군가장(先祖考嘉善大夫大司憲府君家狀) -눌재 이홍준 [눌재선생유고 가장] 중형장륙당가장(仲兄莊六堂家狀) -눌재 이홍준 [눌재선생유고 구묘문] 선형장륙당묘지(先兄莊六堂墓誌) -눌재 이홍준 [눌재선생유고 구묘문] 자제묘걀명(自製墓碣銘) -눌재 이홍준 [눌재선생유고 구묘문] 통훈대부행낙안군수남공묘갈명(通訓大夫行樂安郡守南公墓碣銘) -눌재 이홍준 [눌재선생유고 부록] 금계동지략(金溪洞誌畧) [눌재선생유고 부록] 묘갈음기(墓碣陰記) –와은 김한동 [눌재선생유고 부록] 백록리사상향축문(栢麓里社常享祝文) [눌재선생유고 부록] 부찰방공갈음명(附黃山察訪李公碣陰銘) -퇴계 이황 [눌..

보슬비 외 2편 (한국문학세상 2021년 봄 여름호)

보슬비 이제민 촉촉이 보슬비 내린다 숨죽인 풀꽃에 속삭이며 내리는 고마운 단비 코로나19로 힘든 나날 아픈 상처 어루만져주고 서로 보듬어주며 견뎠던 시간 새싹 움트듯 산뜻이 기지개 켜며 설레는 기다림, 보슬비에 젖는다. ------------------------ ·계간 『한국문학세상』 2021년 봄·여름호 은행나무 아래에서 -강직한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이제민 의성현령(義城縣令) 지낸 후 모처럼 사우(士友)와 바둑을 둔다 부친께서 심은 은행나무 집 가리켜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이 ‘금호고사(琴湖高士)의 집’이라 했단다 1498년 무오년(戊午年) 혼란한 정국 사화(士禍)에 연루되었다고 붉은 옷을 입고 나타난 금오랑(金吾郞) 짙어가는 푸르른 은행나무 아래 삼매경에 빠져 바둑을 두는 용재..

은행나무 아래에서 -강직한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은행나무 아래에서 -강직한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이제민 의성현령(義城縣令) 지낸 후 모처럼 사우(士友)와 바둑을 둔다 부친께서 심은 은행나무 집 가리켜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이 ‘금호고사(琴湖高士)의 집’이라 했단다 1498년 무오년(戊午年) 혼란한 정국 사화(士禍)에 연루되었다고 붉은 옷을 입고 나타난 금오랑(金吾郞) 짙어가는 푸르른 은행나무 아래 삼매경에 빠져 바둑을 두는 용재공 주변에서 금부도사(禁府都事)가 도착한다고 알리니 “아직 나를 잡아들이라는 명을 듣지 못했다” 꿋꿋이 바둑을 둔다 명을 받고 노모(老母)께 하직 인사 올리니 "피하지 말고 의롭게 맞으라!" 다시 돌아오지 못할 것이라 여기며 담담히 당부하신다 국문(鞫問)에도 흐트러짐 없이 임하고 귀양 가는 도중 충성스러운 안..

경주이씨 월성군후 용재공파 행력 및 계통도 (hwp, pdf파일)

경주이씨 월성군후 용재공파 행력 및 계통도(慶州李氏 月城君後 慵齋公派 行歷 및 系統圖)목차(目次) □경주이씨(慶州李氏) 월성군후(月城君後) 용재공파(慵齋公派) 상계도(上系圖)□경주이씨 월성군파(慶州李氏 月城君派) 분파(分派) 및 분적(分籍)□경주이씨 용재공파(慶州李氏 慵齋公派) 상계 직계표(上系 直系表)□경주이씨 항렬제차(慶州李氏 行列第次)□경주이씨(慶州李氏) 족보(族譜)와 항렬(行列) □경주이씨 분적 분파도(慶州李氏 分籍 分派圖)□경주이씨 월성군파 분적 분파도(慶州李氏 月城君派 分籍 分派圖)□경주이씨 월성군파 세계도(慶州李氏 月城君派 世系圖) □경주이씨 시조(始祖)와 진한(辰韓) 6촌□경주이씨 계대(系代)와 분파(分派)□경주이씨 족보(族譜)와 항렬(行列) □경주이씨 월성군후 용재공파 상계행력(慶州李氏 ..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관련 자료 모음 (hwp, pdf파일)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관련 자료 모음- 문집, 의서, 실록, 기·상량문·비문, 경광서원, 유적·유물 등 수록 -□용재유고(慵齋遺稿)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부]눌재유고([附]訥齋遺稿) -눌재공(訥齋公) 이홍준(李弘準)□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문집(文集)□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神仙太乙紫金丹 -慵齋公 李宗準 醫書◉神仙太乙紫金丹 -조선의 만병통치학◉[고의서산책302] 山林經濟②◉고의서 산책(479) - 「紫金丹方」◉[山林經濟] 神仙太乙紫金丹◉[선본해제15] 태을자금단방(太乙紫金丹方)◉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의 국어학적 연구□경광서원(鏡光書院), 백록리사(柏麓里社)◉鏡光書院 -慵齋公 配享書院◉鏡光書院 享祀祝文◉[安東의 書院 享祀] 鏡光書院◉柏麓里社靜觀樓上樑文◉[松巖集]..

용재눌재양선생유고(慵齋訥齋兩先生遺稿) (hwp, pdf파일)

용재눌재양선생유고(慵齋訥齋兩先生遺稿) -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눌재공(訥齋公) 이홍준(李弘準) - □용재선생유고(慵齋先生遺稿) -용재(慵齋) 이종준(李宗準) □눌재선생유고(訥齋先生遺稿) -눌재(訥齋) 이홍준(李弘準) □용재유고(慵齋遺稿) -한국문집총간 제16집 □용재눌재양선생유고(慵齋訥齋兩先生遺稿) -안동역사인물문집국역총서11 □부록(附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