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사랑 · 3 독도 사랑 · 3 박정순 출렁이는 파도가 너무 짙어서 푸른 물 속에 비로서 내가 잠김을 느낄 때 아, 넌 그토록 외로워 하고 있었구나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을 거쳐 바람처럼 휩쓸고 다달은 곳 망망대해의 바람소리와 물새들의 소리만 짙은 초록 바다에도 침약자가 있고 공포가 있어 저 깊은 해저 닿지.. 【문학이야기】/좋은 시와 글 2005.03.28
독도 사랑 · 2 독도 사랑 ·2 박정순 일월의 바다에 등불을 밝히자 오가는 갈매기들을 위해 지나가는 고깃배들을 위해 칼날같은 바람과 철새들의 서식지 동해 바다의 독도를 위해 길위에서 반짝이는 별 바다 위에서 반짝이는 별 바윗 섬 독도에서 반짝이는 별 별이 되어 반짝이는 눈물이 바다위로 떨어지네 눈만 뜨.. 【문학이야기】/좋은 시와 글 2005.03.28
독도 사랑 · 1 독도 사랑 · 1 박정순 쪽빛 동해의 막내 섬 독도 사진을 보며 수천수만의 파도로 달려오는 침묵한 세월의 바람을 생각하네 언제부턴가 우리도 모르는 사이 억지 탈환운동을 벌이고 있는 이웃나라의 욕심에도 아랑곳없이 아침 햇살로 먼저 눈 인사하는 한반도의 동쪽, 외딴 바위섬 지금까지는 몰랐었.. 【문학이야기】/좋은 시와 글 2005.03.28
독도여 일어나라 독도여 일어나라 윤용기 독도는 북위 37°14′22″, 동경 131°52′08″ (동도 삼각점 기준)에 위치한 대한민국 최 동단의 섬, 외로이 떠있는 섬입니다 한국의 수도 서울에서 버젓이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주한일본대사 다카노 도시유키의 망언 말없는 벙어리는 유린의 현장에서 소 닭을 쳐다보듯 멀끔.. 【문학이야기】/좋은 시와 글 2005.03.28
하양 까망 하양 까망 이제민 수많은 길이 나있는 조그만 네모 안 승부의 세계 뒤돌아올 수 없는 희뿌연 안개 속을 나란히 걷고 있네. 화합을 하다가도 서로 격돌하고 눈치를 보다가도 금세 어울리는 하양 까망. 모난 마음에 제멋대로 가다가도 다시 돌아와 인내심을 기르고 깊고 복잡한 미로를 홀로 두드리며 폴.. 【시와 글】/바둑시 2005.03.25
반집 차이일 경우 마지막 공배 메우는 사람이 패한다 [호선바둑] 반집 차이일 경우(덤 6집반), 마지막 공배 메우는 사람이 패한다. ⅰ) 마지막 공배를 백이 메울 경우 흑 돌 개수 x라 하면, 백돌 개수도 x개이므로 흑돌과 백돌의 합은 2x이다. 따라서, 흑집과 백집의 크기의 합은 361-2x=2(180-x)+1 ⇒ 2k+1(k∈Z) 그러므로 흑집과 백집의 크기는 (흑, 백)=(2m.. 【시와 글】/수필, 글 2005.03.24
봄비 봄비 이제민 빈 가슴 숨 돌릴 겨를도 없이 메말라버린 이파리 두 손 모아 빈 정성 하늘 끝에 다다라 내 마음 적시는 한줄기 단비 갈증을 느낀 이파리, 고개 숙이던 餘心도 촉촉한 봄비에 수줍은 고개를 드네. 【시와 글】/시(詩) 2005.03.23
1이란 숫자는 1이란 숫자는 이제민 1이란 숫자는 작은 듯하지만 커다란 의미 하나씩 모여 자연수가 되고 정수가 되고 분수가 되어 수의 형태를 이루네 1이란 숫자는 사소한 듯하지만 무한한 가능 한사람씩 모여 둘이 되고 셋이 되고 군중이 되어 한 나라를 이루네 1이란 숫자는 작은 듯, 사소한 듯 보이지만 그 안의 .. 【시와 글】/동시(童詩) 2005.03.08
몽당연필 몽당연필 이제민 필통 속 긴 연필 친구들과 함께 오순도순 살고 있어요. 예쁜 공책에 검은 실타래를 뽑으며 아름다움을 위하여 몸을 불사르는 연필 친구 생각이 나 그림도 그리고 글씨도 쓰고 나면 금세 난쟁이 연필이 되고 말아요. 키가 작으면 아무렇게나 내버려지지만 그 동안의 세월은 예쁜 공책.. 【시와 글】/동시(童詩) 2005.02.21
기다림 나에게는 한 여인이 있었습니다. 언제나 내 곁에서 나만을 위해 모든 것을 참아오던 여인. 하지만 그 여인은 지금 없습니다. 나를 내버려두고 멀리 떠났습니다. 사는 것이 뭔지, 사랑이 뭔지 한없이 방황을 했습니다. 그녀가 떠난 몇 년이 지나도 나에게는 아무 일도 아닌 조그만 일로 남아있을지 알았.. 【시와 글】/수필, 글 2005.02.20